모방 불가능한 경쟁우위의 탄생 시간, 관계, 습관, 안목의 힘!
전략의 대가 제이 바니(Jay Barney)의 자원기반이론을 말하다
링크주소복사
도서 정보
전략의 대가 제이 바니(Jay Barney)의 자원기반이론을 말하다
저 자 : 신형덕 | 가 격 : 14,800원 | 쪽 수 : 230쪽 | 판 형 : 신국판(152*225) |
인 쇄 : 별색 | ISBN : 9791185541440 | 발행일 : 2016.10.25 |
도서 소개
하루가 멀다 하고 크고 작은 회사들이 스러지는 오늘, 각계 전문가들은 연일 저성장, 불황 타계 방법을 논한다. 기업의 생존과 성장이 곧 개인의 생존과 성장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제가 어려울수록’ 오래 살아남은 강한 기업, 소위 잘되는 기업에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른 걸까?
한국전략경영학회, 한국국제경영학회 상임이사이자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인 신형덕 또한 이에 대해 오랜 시간 집중 연구하였다. 그리고 경영전략의 대가 ‘제이 바니(Jay Barney)’가 제창한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잘되는 기업과 조직의 힘’의 비밀을 밝혔다. 이 책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는 바로 그러한 연구의 집약이자 대중의 눈높이에서 쉽게 풀어낸 실천적 경영서이다.
잘나가는 기업의 힘
“아니, 무슨 운동을 하기에 체력이 그렇게 좋아요?” 한때 유명한 마라토너였으나 회사원이 된 지 20년, 그는 별달리 하는 운동이 없다. 다만, 회사까지 조금 빠른 걸음으로 1시간 남짓한 거리를 매일 걸어서 출퇴근한다. 그에겐 그저 평범한 일상이지만, 그 일상이 전성기와 유사한 체력을 선물했던 것이다. (본문 68-69쪽 발췌)
우리는 이것을 ‘미처 의식하지 못하는 일상의 힘’이라 부른다. 그리고 이 힘이 바로 제이 바니가 주장한 기업(또는 개인)의 잠재력이자 경쟁력이다. 잘나가는 기업의 경쟁력, 그 원천은 밖에 있지 않다. ‘기업의 자원(firm resource)’에 있다. 그것을 어떻게 조직하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불황, 저성장 시대에도 오래 강한 기업을 만들 수 있다. 이 책은 소위 잘나가는 기업들의 다양한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모방이 거의 불가능한 경쟁우위의 원천을 발견하고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한다.
잘되는 기업 무엇이 다를까
저가항공 사우스웨스트는 어떻게 최고의 경쟁력을 일궈냈을까? 샤오미의 도약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단순사업모델 메일박스가 독보적 이익을 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경영전략 분야에서 가장 주도적인 이론 중 하나인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잘나가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을 비교 분석하고,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기업의 장기 비전, 성과, 조직, 인사와 사내 소통, 정기적인 점검 시스템, 조직의 잠재력’ 측면에서 실제 기업 사례를 들어가며 비교 설명한다. 나아가 기업의 경쟁력 향상만큼이나 중요한 개인의 경쟁력 향상 비법을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드는 법, 내게 힘이 되는 인간관계를 만드는 법, 일상의 힘(습관의 힘)을 기르는 법, 나만의 강점을 찾는 법’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그것은 오랜 시간에 걸쳐 기업 내에서 체화되는 것으로 타 기업이 모방하기 쉽지 않다는 특성이 있다.
기업과 조직의 심장을 뛰게 하는 법
인사, 조직 분야 권위자인 페퍼(Jeffrey Pfeffer), 서튼(Robert I. Sutton) 교수에 따르면, 기업이 정체되거나 침체되는 진짜 이유는 조직 내 ‘말만 하고 실행하지 않는 폐단, 기존의 나쁜 습관을 지속하는 것, 두려움, 지나친 내부 경쟁 구조’에 있다고 한다.
저자는 이러한 기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과 조직의 심장을 살아 펄떡이게 하기 위한 방법을 이 책에 제시한다. 그 첫 번째 방법으로 새 술을 담기 위한 조직 개혁보다는 새 조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 실패에 대해 일벌백계하기보다는 도전과 실험을 장려할 것, 영입된 혹은 배태하고 있는 리더의 능력을 제대로 활용할 것, 일을 할 때는 되도록 ‘객관적’ 대신 ‘합리적’이라는 말을 사용할 것, 개인의 성과보다는 조직의 성과에 주목할 것 등을 주장한다.
추천사
저자 소개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자원기반이론의 창시자인 제이 바니(Jay Barney) 교수의 지도 아래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3년간 교수로 재직하였다. 지금은 홍익대학교 경영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삼성SDS와 방송통신대학교에서 동영상 강좌를 진행했으며, 삼성엔지니어링, LG인화원, 현대백화점, CJ CGV,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다수의 기업체 특강을 했다. 번역서로 『전략경영과 경쟁우위』, 『창업이론과 실제』, 저서로 『기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이 있다.
한국전략경영학회와 한국국제경영학회에서 상임이사를,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에서 부회장의 직책을 맡고 있다. 여행과 사이클링을 즐기며, 그의 강좌를 수강했던 졸업생들이 만든 모임에 나가서 제자들과 만나는 것을 좋아한다. 아내와 두 딸, 두 마리의 요크셔테리어와 함께 청라에 살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_ 잘 되는 기업과 인기 있는 방송의 공통점
1부 잘 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 자원기반이론에 근거한 분석
1. 자원기반이론이란 무엇인가
- 포터가 틀린 이유
- 기업 경쟁력의 원천
- 모방 불가능한 경쟁우위의 조건
2. 경쟁우위 조건1: 경로의존
- 시간에는 힘이 있다
- 하버드대, 도쿄대, 서울대의 공통점
- 설빙은 선도주자인가, 후발주자인가
- 잭팟이 잘 터지는 카지노가 돈 버는 법
- 사우스웨스트 사는 어떻게 최고 경쟁력을 유지하는가
- <무한도전> 가요제가 성공한 진짜 이유
- 개인의 경쟁력 키우기: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드는 법
- 기업의 경쟁력 키우기: 장기적인 성과, 비전, 조직
3. 경쟁우위 조건2: 사회적 복잡성
- 관계에서 경쟁력이 생긴다: 스카우트의 함정
- 짝퉁 기업 샤오미의 도약은 어디서 시작됐나
- 사내 통신망과 사내 소통은 무관하다
- 관계가 만든 ‘꽃보다’ 시리즈의 성공
- 개인의 경쟁력 키우기: 힘이 되는 관계를 만드는 법
- 기업의 경쟁력 키우기: 인사 관리 및 사내 소통 증진
4. 경쟁우위 조건3: 인과적 모호성
- 일상적인 습관의 힘: 어느 마라토너의 비밀
- 미처 의식하지 못하는 일상의 힘
- 리 회사 사장님은 거짓말쟁이?
- 단순 사업 모델 메일박스가 큰 이익을 내는 이유
- 인과적 모호성의 패러독스
- 이야기
- 개인의 경쟁력 키우기: 일상의 힘을 기르는 법
- 기업의 경쟁력 키우기: 정기적인 점검 시스템
5. 경쟁우위 조건4: 조직 배태성
- 가치를 알아보고 활용하는 힘: 제록스와 마우스
- 파랑새를 찾아서
- 조직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구조, 통제, 보상 전략
- IBK기업은행은 어떻게 문화콘텐츠 사업에 진입했을까
- 개인의 경쟁력 키우기: 나만의 강점을 찾아보자
- 기업의 경쟁력 키우기: 조직의 잠재력을 찾아보자
6. 기업의 경쟁력을 알아보는 기준, VRIO
- 자원기반이론의 대표적 모델: VRIO
- V: 가치 있는 자원인가
- R: 희소한 자원인가
- I: 다른 기업이 모방하기 힘든가
- O: 조직과 결합되어 있는가
- VRIO 분석표 활용 예
- VRIO 분석표, 개인에게 적용하기
- VRIO 분석표, 회사에 적용하기
2부 기업의 경쟁력 어떻게 키울까 : 다른 전략이론들과 자원기반이론 비교
1. 오스터왈더와 피그누어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 기업의 가치 창출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진화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vs. 자원기반이론
- 사례 연구: 델 컴퓨터
2. 프라할라드와 하멜의 핵심 역량
- 선택과 집중
- 핵심 역량과 핵심적 경직성
- 핵심 역량 vs. 자원기반이론
- 사례 연구: 고어 사의 핵심 역량
3. 노나카의 지식경영
- 조직 내 지식의 창출
- 암묵지, 형식지, 그리고 지식 전환
- 지식경영 vs. 자원기반이론
4. 김위찬과 르네 마보안의 블루오션
- 가치혁신 개념의 등장
- 전통적 논리 vs. 가치혁신 논리
- 사례 연구: 아마존의 비전
- 블루오션 vs. 핵심 역량
- 블루오션 vs. 자원기반이론
5. 크리스텐슨의 파괴적 혁신
- 이별은 갑자기 다가온다
- 파괴적 혁신에 대처하는 4가지 방법
- 사례 연구: IBM의 지속적 성공
- 파괴적 혁신 vs. 자원기반이론
- 블루오션 vs. 파괴적 혁신 vs. 자원기반이론
3부 조직을 바꾸는 힘 : 자원기반이론의 적용
1.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하는 법
- 문화의 산업화
- 브리콜라주
- 앙트러프러너십
2. 판에 박힌 경쟁 피하기
- 사교육이 나라를 망친다?
- 경쟁의 유형
- 평가 기준, 발상의 전환
3. 살아 펄떡이는 조직 만드는 법
- 동맥경화에 걸린 조직
- 조직이 침체되는 진짜 이유
- 조직의 심장을 뛰게 하는 법
에필로그 우리는 모두 승자가 될 수 있다
서평 기사
- 2016년 11월 7일 노컷뉴스
- http://www.nocutnews.co.kr/news/4681127
- 김영태 기자의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서평잘나가는 기업들의 다양한 성공 사례를 분석한 것을 통해 모방이 거의 불가능한 경쟁우위의 원천을 발견하고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한다.
- 2016년 11월 7일 매경프리미엄
- http://premium.mk.co.kr/view.php?no=16676
- 경제경영 북카페 코너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소개잘나가는 기업들의 다양한 성공 사례를 분석한 것을 통해 모방이 거의 불가능한 경쟁 우위의 원천을 발견하고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한다.
- 2016년 11월 5일 조선비즈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04/2016110400641.html
- 조현정 기자의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서평경쟁력은 기업 내부에 있다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잘 되는 조직엔 유머와 유연성이 있다”기업 내부의 잠재력은 유머가 있고 유연성이 있으며 서로 신뢰하는 조직에서 발현될 수 있다. 저자는 기업과 조직의 심장을 다시 뛰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 2016년 11월 4일 내일신문
-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215677
- 박준규 기자의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서평[책으로 읽는 경제 |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짝퉁기업 샤오미와 '꽃보다 청춘'의 닮은 점"기업과 조직을 살아 숨 쉬게 하려면 조직개혁보다는 조직을 새롭게 만들 것을 주문했다.실패에 대해 책임을 묻기보다는 도전과 실험을 장려하고 영입된 리더의 능력을 활용하거나 개인의 성과...
- 2016년 11월 3일 연합뉴스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1/03/0200000000AKR20161103157200005.HTML?input=1195m
- 구정모 기자의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신간 소개 기사저자는 "전략은 경쟁자를 상대로 싸워 이기는 수단이 아니라 기업의 잠재적 역량을 발휘하는 수단이 돼야 한다"며 "기업이 잠재적 역량을 발휘하다 보면 그 부산물로서 경쟁 기업보다 더 나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 2016년 11월 3일 한국경제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110396511
-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신간 소개 기사경영전략가 제이 바니의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잘되는 기업과 조직의 경쟁우위 조건을 설명했다.
- 2016년 11월 3일 서울경제
- http://www.sedaily.com/NewsView/1L3U7Q5MM4
-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신간 소개 기사저자는 미국의 저비용 항공사 사우스웨스트, TV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 중국 기업 샤오미 등의 사례로 기업의 경쟁력 확보 방안을 제시한다.
관련도서
도서 포스트
- 급격한 변화, 파괴적 혁신에 대처하는 법
- 우리 회사가 침체되는 5가지 이유
- 잠재력을 알아보는 것이 곧 경쟁력
- 짝퉁기업 샤오미 도약의 비밀 :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 인사관리 사내소통 어떻게 할까 :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 [출간]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 비법 그대로 했는데 왜 살이 안 빠지죠? 날씬한 사람들도 잘 모르는 예쁜 몸매의 비밀
- 이직한 능력자가 우리 회사에서 힘 못 쓰는 이유
- 조직의 심장을 펄떡이게 하는 5가지 방법
- 올해 목표 달성, 그것만이 능사일까?